
이번에 출시한 앱의 버전 업데이트를 위해 iOS 아카이빙을 진행하면서 Distribution 옵션을 선택했는데,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맞닥뜨렸다.ㅤ ㅤUpload Symbols FailedThe archive did not include a dSYM for the Flutter.framework with the UUIDs [0000-0000]. Ensure that the archive's dSYM folder includes a DWARF file for Flutter.framework with the expected UUIDs. 근데 Appstore Connect 앱에서는 해당 앱이 정상적으로 Distribute 되었다고 알림이 와서, 위 경고가 어떤 내용인지 조금 더 찾아보고자 한다. 혹시 앱..

이번에는 Expo Go 문제로 잠시 찾아왔다. 사이드 프로젝트로 RN을 만져보고 있는데, iOS 에뮬레이터쪽의 실행은 문제가 없었는데 안드로이드에서는 Expo Go 앱 자체가 실행이 안되는 (스플래시 화면이 나오자마자 튕겨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새로운 Expo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빈 프로젝트를 빌드했을 때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했다. 근데 이게 Expo 에서 앱 빌드를 안누르고 그냥 에뮬레이터 상에서 Expo 앱을 누르기만 해도 Expo Go 앱 자체가 꺼져버리는거라, 코드나 빌드 상의 문제가 있는 것 같지는 않았고 Expo Go 자체의 문제로 크게 의심되었다.문제의 원인을 찾아보기 위해서 Android Studio 에서 Logcat을 연결해 에뮬레이터 자체에서 뱉어내는 로그들을 찾아보려 했다. 그 ..

ㅤ오늘은 유튜브 나중에 볼 동영상을 빠르게 지우는 방법을 가져왔다.ㅤ유튜브의 나중에 볼 동영상 플레이리스트의 최대 영상 제한 개수가 5000개라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알고싶지 않았다) 플레이리스트 속 영상들을 한 번에 정리하는 방법이 의외로 유튜브에서 제공되고 있지 않아서, 이전에는 손으로 직접 1000개 정도 지우고 관리를 했었다.ㅤ좀 더 쉽게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방법이 없을까 싶어서 지난 번에는 맥os의 Automator 프로그램을 이용해 스크립트를 짜고 실행해줬었다. 웹페이지를 읽어서 버튼을 찾아 자동으로 누르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스크립트를 짰었는데, 유튜브 UI 업데이트로 해당 스크립트가 실행이 잘 되지 않는 것 같아서, 새로운 방법을 들고왔다. 아마 윈도우 에서도 돌아가지 않을까 싶다.방법우..

어제부터 FutureProvider.family로 상태 관리 로직을 추가해보려고 수많은 뻘짓과 문서탐색과 노가다를 하고있었다. 그리고 오늘의 글을 작성하려는 목적이 여기에서의 파라미터 타입에서 시작되었다!!!ㅤUsecase를 호출하기 위한 파라미터 데이터를 묶어줄 타입을 이렇게 클래스로 만들어주고 FutureProvider로 param을 넘겨 데이터를 호출하였다.// 클래스 타입을 이렇게 정의해주고class MyUsecaseParam { MyUsecaseParam({required this.id, required this.date}); final String id; final DateTime date;}// 아래처럼 호출하였음final param = MyUsecaseParam(id: ..., dat..

Riverpod 패키지의 여러 Provider 중에서 특정 데이터(상태값)을 확인하기 위해 파일IO나 네트워크 등의 비동기 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FutureProvider를 활용해줄 수 있다. FutureProvider의 공식 문서를 살펴보면, 비동기 프로세싱에 대해서 캐싱 처리를 지원한다고 되어있다. 즉, FutureProvi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동일한 요청에 대해서는 새로고침을 요청하지 않는다면 알아서 캐싱된 데이터를 가져와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상태 관리를 처리해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한 번 비동기 로직을 수행하여 상태값을 만들어둔다면 다시 로직을 수행하지 않고 결과값을 바로 전달한다. (Dispose 시점을 잘 제어한 경우에 해당함 — @rivderpod 어노테이션을 통해 만들어..

이번 분기에도 정말 다채로운 일들이 일어났던 것 같다. 후후. 요즘은 인생이 참 즐거워 즐거워.ㅤ이번에 나의 자기개발 알고리즘 속을 지나다니면서 이런 내용의 영상을 봤다.하루가 다 끝날 때 3가지를 느껴야 하루를 잘 보낸 것이다.1) 오늘 한 일이 보람차다2) 그런데 힘들다3) 그래서 집에 가서 쉬고싶다 이번 한 분기는 보람을 느끼는 순간이 유난히 많았던 것 같다. 힘들었나..? 사실 힘들지는 않았다. 어쩌면 이번에는 챌린지 존을 누비기보다는 내 컴포트 존을 넓히려는 노력을 좀 많이 했던 것 같다. 덕분에 변화한 내 삶의 환경에 대해서 어느정도 적응이 완료되었는데, 다시 내가 덤벼볼 수 있는 것들을 찾아 나서야겠다는 생각이 이 글을 쓰면서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것 같다.ㅤ인턴을 시작했다!너무나도 다행히, ..
이번에 Enum 간의 타입 변환을 하는 새로운 방식을 찾아서,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한다. 생각도 못했던 방식… 오호…ㅤ대충 상황은 이런 느낌이였다.레이어 분리를 위해 동일한 상태 값에 대해서 도메인 레이어에서는 Entity를 위한 enum 타입을 사용해주고 있었고, 데이터 레이어에서는 Model을 위한 enum 타입을 사용해주고 있었다.enum MyDataTypeForEntity { A, B, C, D, none }enum MyDataTypeForModel { A, B, C, D, none }ㅤEntity와 Model에서는 이 두 타입을 각각 사용해 정의해주고 있었고, 나머지는 대부분 원시값으로 속성을 사용해주고 있었다.class MyEntity { final String name; final MyD..

Flutter 3.24 버전에서부터 Swift Package Manager (이하 Swift PM 또는 SPM) 을 패키지 관리 도구로 공식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ㅤ회사 내에서 플러터 업데이트나 새로운 기술에 대해 호기심이 많으신 팀원분이 계신데, 내가 이전에 iOS 개발에 대한 경험이 있다보니 “SPM을 우리도 도입하면 괜찮을까? 어떤 장점들이 있을까?” 에 대해서 나에게 물어봐주셨다. 나도 요런 부분들이 궁금하기도 하고, 애플과 플러터의 조합에 호기심도 생겨서 SPM 적용에 대한 정보 서치와 현 시점에서의 생산성 개선 정도에 대해서 테스트를 해봤다.ㅤ그 결과와 내 생각은 글 하단에 작성해뒀다!ㅤ여기 Medium 글을 확인해보면, 플러터 3.24 버전부터 Swift PM을 지원한다. 아직 Earl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