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wift 기초 개념] UIButton Class Apple 공식 웹의 UIKit - UIButton에 대한 문서를 보고 번역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글 아래편에 번역하여 올려두었고, 다음에 나올 내용은 본문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원문 :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uikit/uibutton UIButton UIButton은 UIControl Class를 상속하는 Class이다. 버튼을 만들 때 필요한 목적에 맞는 type을 결정해줘야 한다. Title, Image 같은 content를 배치하여 버튼을 구성해줄 수 있고, 해당 속성에 대한 property를 제공한다. 버튼의 Action 버튼에 대한 반응으로 세 가지 시그니처가..

Swift 문법을 처음 공부하면서 여러 예제를 참고하다보니, 이전의 배웠던 java나 C# 등의 언어에서는 보지못했던 새로운 문법형식들이 등장해서 다소 낯설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문법들에 대해 찾아보았습니다. 제가 낯설다고 느꼈기때문에, swift를 처음 공부하는 사람이면 똑같이 낯설게 느끼지 않을까 하여 포스팅합니다. 처음 공부하는 사람이 작성했다고 해서 왔는데 어렵더라! 라는 말이 안나오게 이해한 내용까지만 작성하려해욤. 물론 저도 쌩판 처음 스위프트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작성하는 문서이기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혹시 있다면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BAction, IBOutlet의 역할 요점만 말하자면, 이 둘의 역할은 StoryBoard와의 연결고리를 담당한다. 변수나 함수를..

함수형 언어가 뭘까? 내 주변의 컴덕 친구들이 iOS의 언어인 swift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형 언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내가 이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함수형 프로그래밍인지,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도대체 뭔지 관심이 생겨 한 번 찾아보았다. 명령형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 우선 내가 이제껏 사용해오던 프로그래밍 언어 Java, C#등은 명령형 프로그래밍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명령을 수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있고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함수형식을 유지'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있다고 생각된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은 입력, 출력의 유무에는 크게 상관이 없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값에 접근해 사용해도 상관이 없다. 다시 말하..
HIG는 앱개발에 있어서 동작과 디자인을 어떻게 구성할까에 대한 질문에 답을 주는 지침서이다. 이를 따라가면서 앱을 개발하면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낯선 앱이라도 친숙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약간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통일성을 형성하여 "애플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 입장에서 개발을 진행하여 좀 더 사용에 편리할 수 있고, 낯선 앱을 이용할때 오는 이질감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https://developer.apple.com/design/human-interface-guidelines/ios/overview/themes/ㅈ Themes - iOS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Apple Developer iOS Design T..